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1871년 조선 — 신미양요와 쇄국 정책의 강화

1871년 조선 — 신미양요와 쇄국 정책의 강화

1871년 조선 — 신미양요와 쇄국 정책의 강화

목차

서론 — 1871년의 의미

1871년은 조선 역사에서 ‘신미양요’라는 사건으로 대표된다. 이는 미국 함대가 강화도를 침공한 무력 충돌로, 조선의 쇄국 정책이 극적으로 표출된 사건이었다. 비록 미국이 조선을 굴복시키지 못하고 철수했지만, 이번 전투는 조선이 국제 정세 변화에 무방비 상태였음을 드러냈다. 동시에 흥선대원군은 이를 계기로 더욱 강력한 쇄국 정책을 고수했다.

“나라가 비록 작을지라도 굴하지 않으면 지킬 수 있다.” — 흥선대원군

신미양요의 배경

외세 침입의 잦은 발생

1860년대 이후 조선은 서구 열강의 압박에 잇따라 직면했다. 1866년 병인양요에서 프랑스 군대가 강화도를 공격했으며, 같은 해 제너럴 셔먼호 사건으로 미국 상선이 대동강에서 불태워졌다. 이어 1868년에는 독일 상인들이 무단으로 조선 해안에 상륙하는 사건도 있었다. 이러한 일련의 사건들은 조선과 서구 열강 사이의 갈등을 심화시켰다.

미국의 요구

미국은 제너럴 셔먼호 사건의 책임자 처벌과 통상 개방을 요구했다. 그러나 대원군은 쇄국 방침을 고수하며 이를 거부했다. 결국 1871년, 미국은 아시아 함대 사령관 로저스 제독 휘하의 함선을 이끌고 조선에 무력 시위를 단행했다.

강화도 전투와 충돌 과정

미국 함대의 접근

1871년 6월, 미국 함대는 강화도 해협에 진입했다. 조선군은 이를 침략 행위로 간주하고 방어 태세를 갖췄다. 미국 함대는 수 차례 협상을 시도했으나, 조선은 통상 요구를 거부하며 군사적 충돌이 불가피해졌다.

광성보 전투

6월 10일, 미국군은 광성보를 공격했다. 조선군은 열세한 화력 속에서도 끝까지 항전했다. 특히 수비대장 어재연 장군은 깃발을 움켜쥔 채 전사하며 “서양 오랑캐에게 나라를 팔 수 없다”는 의지를 보였다. 이 장면은 훗날 ‘수자기(守字旗)’의 상징성과 함께 기억되었다.

“나라가 망할지언정, 군인의 혼은 꺾이지 않는다.” — 어재연

미군의 철수

광성보 전투에서 많은 희생이 있었지만, 조선군은 끝까지 버텼다. 미군은 강화도 성을 점령했으나 조선의 강력한 저항과 보급 문제로 인해 더 이상의 진군을 포기하고 철수했다. 이로써 신미양요는 조선의 ‘승리 없는 항전’으로 끝났다.

정치적 파장과 대원군의 대응

신미양요 이후 대원군은 “서양과는 통하지 않는다”는 쇄국 칙령을 더욱 강력히 선포했다. 그는 전국 각지에 “척화비(斥和碑)”를 세워 외세 배척 의지를 대외적으로 천명했다. 이는 단기적으로는 민심을 결집시키는 효과가 있었지만, 장기적으로는 조선을 국제 고립 상태로 몰아넣는 결과를 낳았다.

사회·경제적 여파

전투로 인해 강화도 일대 백성들은 큰 피해를 입었다. 농토가 유린되고 민가가 파괴되었으며, 전쟁 동원으로 인한 경제적 부담이 가중되었다. 그러나 동시에 조선 백성들은 외세에 굴하지 않는 대원군의 정책을 지지하며 민족적 자긍심을 느끼기도 했다.

국제 정세 속의 조선

1870년대 국제 정세는 급변하고 있었다. 일본은 메이지 유신을 통해 근대화를 추진하며 조선 개항을 노리고 있었고, 서구 열강도 아시아 시장 확대에 열을 올리고 있었다. 조선이 신미양요에서 군사적 항전을 벌였지만, 외교적으로는 아무런 결실을 얻지 못한 채 점점 더 고립되었다.

비하인드 스토리와 민심

광성보 전투 당시, 조선군은 열악한 무기와 보급 상황 속에서도 끝까지 싸웠다. 후대에 전해진 기록에 따르면, 일부 군관들은 화약이 떨어지자 돌을 던지며 최후를 맞이했다고 한다. 이러한 항전은 조선 민중에게 ‘비록 패했으나 정신은 꺾이지 않았다’는 상징으로 남았다.

민심은 대원군의 강경책에 일시적으로 호응했으나, 세금과 부역 부담이 커지면서 불만도 누적되었다. 신미양요는 백성들에게 자존심과 고통을 동시에 남긴 사건이었다.

역사적 의의

  • 조선의 쇄국 정책 강화와 척화비 건립
  • 외세에 대한 항전 의지 표명
  • 국제 정세 속 고립 심화
  • 훗날 개항 불가피성의 배경 제공

1871년 주요 사건 연표

연·월 사건
1871.5 미국 아시아 함대, 조선 해역 진입
1871.6.10 광성보 전투, 어재연 장군 전사
1871.6.12 미군, 보급 문제로 철수 결정
1871.7 대원군, 쇄국 정책 강화 칙령 발표
1871.8 전국 각지에 척화비 세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