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1866년 병인양요와 제너럴셔먼호 사건 — 조선의 외세 충돌과 쇄국정책 강화

반응형
1866년 병인양요와 제너럴셔먼호 사건 — 조선의 외세 충돌과 쇄국정책 강화

1866년 병인양요와 제너럴셔먼호 사건 — 조선의 외세 충돌과 쇄국정책 강화

1866년은 조선이 서양 열강과 본격적으로 충돌한 역사적 전환점이었다. 병인박해로 촉발된 프랑스의 무력 침공, 즉 병인양요와, 미국 상선 제너럴셔먼호 사건이 같은 해에 발생했다. 이 두 사건은 조선의 대외 정책, 특히 쇄국정책의 방향을 결정지었으며, 이후 수십 년간 외교적 고립을 심화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병인박해와 프랑스의 반격

흥선대원군 집권기 조선은 서양 세력의 통상 요구를 강력히 거부하며 ‘쇄국’을 국시로 삼았다. 그러나 18세기 후반부터 서학(천주교)이 조선에 유입되었고, 이를 통해 서양과의 접점이 점차 확대되었다. 특히 프랑스 파리외방전교회의 선교사들은 비밀리에 조선에 잠입해 포교 활동을 벌였다. 1866년, 흥선대원군은 천주교가 유교적 질서와 왕권을 위협한다고 판단하여 대규모 박해를 단행했다. 이른바 ‘병인박해’로, 프랑스 선교사 9명과 수천 명의 조선인 신자가 처형되었다.

프랑스 극동함대 사령관 로즈 제독은 자국민의 학살에 격분했다. 그는 조선에 군사적 응징을 가해 조약 체결을 강요하고, 선교사의 안전을 보장받으려 했다. 이는 1866년 10월 강화도 해역에서 병인양요로 이어졌다.

“서양 오랑캐가 침입하면 싸우지 않으면 화친하는 자는 반역자다.” — 척화비 비문

병인양요의 전개

1866년 10월, 프랑스 함대 7척이 강화도에 진입했다. 그들은 초지진과 덕진진을 차례로 점령하며 내륙으로 진격했다. 프랑스군은 최신식 함포와 소총으로 무장했고, 조선군은 화승총과 활, 창으로 맞섰다. 특히 10월 11일 광성보 전투는 병인양요의 최대 격전이었다. 조선군은 지형을 활용해 방어했으나, 화력 차이는 극명했다.

전투 과정에서 프랑스군은 외규장각에 침입해 왕실 의궤, 고문서, 도자기, 옥기 등 귀중한 문화재를 약탈했다. 외규장각 의궤는 궁중 의례를 기록한 일종의 왕실 백서로, 국가적 가치가 매우 컸다. 프랑스군은 보급 문제와 병력 손실로 인해 11월 철수했지만, 약탈품은 그대로 프랑스로 반출되었다.

전투 이후 조선의 대응

흥선대원군은 병인양요가 끝난 후 전국 각지에 척화비를 세워 외세 배척의 결의를 다졌다. 척화비는 단순한 표석이 아니라, 조선의 대외정책 방향을 상징하는 선언문이었다. 조선은 이 사건을 ‘외세에 맞서 승리한 전쟁’으로 선전했지만, 실상은 막대한 문화재 손실과 군사적 피해를 입은 사건이었다.

“서양의 함포는 강했으나, 우리의 의지는 꺾이지 않았다.” — 병인양요 당시 수비대 증언

제너럴셔먼호 사건

같은 해 8월, 미국 상선 제너럴셔먼호가 대동강을 거슬러 평양에 도착했다. 선원들은 무역을 요구하며 통역을 내세웠으나, 조선 당국은 이를 거절했다. 교섭이 결렬되자 충돌이 벌어졌고, 평양 관민은 화공 작전을 펼쳐 배를 불태웠다. 선원 전원은 사망했다.

미국은 이 사건을 자국민과 재산에 대한 침해로 규정했고, 훗날 1871년 신미양요의 원인이 되었다. 당시 평양 사람들은 군민이 합심해 외세를 격퇴했다는 자부심을 가졌으나, 미국의 보복 가능성은 여전히 큰 위협이었다.

국제 정세와 여파

1860년대 동아시아는 제국주의 열강의 각축장이었다. 청나라는 아편전쟁과 태평천국의 난으로 국력이 약화되었고, 일본은 메이지 유신을 통해 급속히 근대화하고 있었다. 서양 열강은 조선이 ‘아시아의 마지막 미개방국’이라는 점에 주목했고, 무력과 외교를 통해 개항을 압박했다.

병인양요와 제너럴셔먼호 사건은 조선의 쇄국정책을 더욱 강화시켰다. 그러나 이는 결과적으로 국제정세에서 조선의 고립을 심화시키고, 이후 1876년 강화도조약으로 이어지는 외세의 강제 개항을 막지 못했다.

비하인드 스토리

프랑스군이 약탈한 외규장각 의궤는 2011년 장기대여 형식으로 반환되었다. 반환 교섭은 1990년대 후반부터 이어졌으며, 프랑스 국립도서관이 소장 중이던 297책이 한국으로 돌아왔다. 또한 제너럴셔먼호 사건 당시 평양 주민들이 사용한 화공 전술은 지형과 조류를 철저히 분석한 전략이었다.

역사적 의의

  • 조선과 서양 열강 간 최초의 본격적인 무력 충돌
  • 문화재 약탈과 반환 문제의 시작
  • 쇄국정책 강화와 척화비 건립
  • 훗날 신미양요의 직접적 배경 제공

1866년 주요 사건 연표

연도/날짜 사건
1866.2 병인박해 시작, 프랑스 선교사와 신자 처형
1866.8 제너럴셔먼호 사건 발생
1866.10 병인양요 발발, 프랑스군 강화도 점령
1866.11 프랑스군 철수, 척화비 건립
반응형